대중음악사 > 시대별 대중음악사
K-POP ARCHIVE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.
시대별 대중음악사
1950년대
연도 | 구분 | 주요내용 |
---|---|---|
1951 | 한국 대중음악사 관련 사건 | 8월, 코로나레코드 간이취입소 설치 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인물 | 이 무렵 작곡가 손석우(1920~) 작사로 창작 활동 시작. 이 무렵 가수 겸 영화배우 나애심(1931~. 평안남도 진남포 출생) 월남하여 본명 전봉선으로 무대 활동 시작. 가수 이인권(1919~1973) 이 무렵부터 작곡 활동 시작. |
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작품 | <님 계신 전선>, <아내의 노래>(유호 개사, 1952년 심연옥의 노래로 음반 발매), <눈물의 왈츠> | |
기타 사회·문화적 사건 | 2월, 거창 양민학살 사건. 4월, 국립국악원 개원. 12월, 자유당 창당. | |
외국 대중음악사 주요 사건 | 일본에서 LP음반 생산 시작. 일본에서 <越後獅子の唄>, <高原の驛よさようなら> 등 히트. | |
1952 | 한국 대중음악사 관련 사건 | 이 무렵 부산에서 가수 한복남이 도미도레코드 설립. 이 무렵 반도가극단 해산. 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인물 | 8월, 작곡가 문호월(1908~1952) 사망. 작곡가 손목인(1913~1999) 일본으로 밀항. 이 무렵 작사가 박영호 북한에서 사망. 이 무렵 극작가 겸 작사가 김진문(~1952) 사망. |
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작품 | <전선야곡>, <마음의 고향>, <미사의 노래>, <삼다도 소식>, <슈샨보이>(1954년 음반 발매) | |
기타 사회·문화적 사건 | 7월, 발췌개헌안 통과. 8월, 이승만 제2대 대통령에 취임. | |
외국 대중음악사 주요 사건 | 일본에서 <リンゴ追分>, <ゲイシャワルツ>, <お祭りマンボ>, <ハワイの夜>(손목인 작곡) 등 히트. 이 무렵 미국에서 33 1/2회전 음반은 고전음악을 위한 포맷으로, 45회전 음반은 대중음악 라디오 방송, 주크박스, 소매용 싱글 음반을 위한 포맷으로 양분. |
|
1953 | 한국 대중음악사 관련 사건 | 2월, 음악 전문 세광출판사 설립. 일본에서 재일교포 대상 음반회사 케이아이레코드 음반 발매. 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인물 | 가수 정향(1928~) 일본 케이아이레코드에서 데뷔. 작곡가 김부해(=김방아. 1918~1988) 이 무렵 작사로 창작 활동 시작. | 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작품 | <굳세어라 금순아>, <물방아 도는 내력>, <한강>, <샌프란시스코>, <향수>, <내가 심은 해당화> | |
기타 사회·문화적 사건 | 6월, 반공포로 석방. 7월 27일, 한국전쟁 휴전. | |
외국 대중음악사 주요 사건 | 일본에서 텔레비전 방송 정식으로 시작. 연말에 NHK 텔레비전에서 홍백가합전(紅白歌合戰) 시작. 일본에서 <淺太郞月夜>, <街のサンドイッチマン> 등 히트. 미국에서 빌 헤일리 앤 더 코메츠의 <Crazy Man Crazy>가 빌보드 차트에 진출. |
|
1954 | 한국 대중음악사 관련 사건 | 7월, 스타레코드 제1회 신보 발매. 고려레코드 후신으로 유니버살레코드 설립. 9월에 제1회 신보 발매. 9월, KPK악단이 이난영악단으로 개칭. 이 무렵 부산에서 미도파레코드 설립. 이 무렵 오아시스레코드 설립. 오아시스레코드보다 조금 늦게 신신레코드 설립. 이 무렵 대구에서 서라벌레코드 설립. 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인물 | 이 무렵 작곡가 박춘석(=백호) 작품 발표 시작. 이 무렵 작사가 한산도(=한종명. ~1998) 작품 활동 시작. 이 무렵 작곡가 백영호(1920~2003) 작품 발표 시작. 작사가 김문응 월남 이후 이 무렵부터 작품 활동 시작. 가수 한복남 작곡 활동 시작. |
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작품 | <이별의 부산정거장>, <봄날은 간다>, <아메리카 차이나타운>, <꿈에 본 내 고향>, <향항 아가씨>, <고향의 그림자>, <페르샤 왕자>, <승리 부기>, <에레나가 된 순희>, <백마강> | |
기타 사회·문화적 사건 | 1월, 소설 <자유부인> 신문에 연재(8월까지). 3월, 국산영화 입장세 면제 시행. 6월, <<<한국일보>>> 창간. 11월, 사사오입 개헌 파동. 12월, 최초의 민간방송인 기독교방송(HLKY) 개국. |
|
외국 대중음악사 주요 사건 | 4월, 미국에서 빌 헤일리 앤 더 코메츠의 <Rock Around the Clock> 발매. 미국에서 가수 엘비스 프레슬리 데뷔, 7월에 <That's All Right Mama> 발매. 일본에서 <ひばりのマドロスさん>, <お富さん> 등 히트. |
|
1955 | 한국 대중음악사 관련 사건 | 4월, 이난영악단 해산. 이 무렵 킹스타레코드 설립. 대구에서 연합출판사 설립. 작가별 작곡집 출판 시작. 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인물 | 이 무렵 가수 송달협(1919~1955) 사망. 가수 손인호(1927~) <나는 울었네>로 데뷔. 가수 명국환(1933~) 데뷔. 가수 안다성(1931~) 서울중앙방송곡 전속가수로 데뷔. 가수 박경원(1931~2007) 데뷔. 가수 백일희(1930~) 데뷔. 가수 방운아(=방태원. 1931~2005) 데뷔. 작곡가 나화랑(1921~1983) 킹스타레코드 문예부장 취임. |
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작품 | <청춘고백>, <물새 우는 강언덕>, <나 하나의 사랑>, <백마야 울지 마라>, <나는 울었네>, <방랑시인 김삿갓>, <이별의 인천항>, <함경도 사나이>, <경상도 아가씨>, <마음의 자유천지>, <언제까지나>, <이별의 인천항>, <내 고향 진주>, <도라지 맘보>, <오동동타령>, <엽전 십오냥> | |
기타 사회·문화적 사건 | 1월, 영화 <춘향전> 개봉(감독 이규환). 2월, 잡지 <아리랑> 창간호 발행. 7월, 미8군 사령부가 일본에서 서울 용산으로 이전. 8월, 한국연예주식회사 창립(사장 임화수), 산하 단체로 자유가극단 설립. |
|
외국 대중음악사 주요 사건 | 미국에서 페레스 프레도 악단이 연주한 <체리핑크 맘보(Cherry Pink and Apple Blossom White)> 대히트, 전 세계적으로 맘보 열풍 확산. 미국에서 리틀 리처드가 <Tutti Frutti> 발표. 미국 영화 <폭력교실(Blackboard Jungle)>에서 빌 헤일리 앤 더 코메츠의 <Rock Around the Clock> 사용. 일본에서 작곡가 손목인이 예명 구가야마 아키라(久我山明)로 <カスバの女> 발표. 일본에서 가수 후랑크 나가이(フランク永井) 데뷔. |
|
1956 | 한국 대중음악사 관련 사건 | 1월, 가수 백난아 부케가극단 창립. 4월, 대한레코드작가협회 결성(회장 김교성). 11월, 동경올스타즈 내한 공연. 11월, 대한레코드축음기제작가협회 결성. 이 무렵 작곡가 박시춘(1913~1996)이 노벨레코드 설립. 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인물 | 가수 정향 일본에서 귀국해 활동. 가수 박애경(1937~2005. 이후 은방울자매 멤버) 데뷔. 가수 김정애(1935~) 데뷔. 가수 도미(1934~) 데뷔. 작사가 월견초(1936~1974) 이 무렵부터 작품 활동 시작. 이 무렵 작사가 겸 가수 유노완(1924~) 데뷔. 이 무렵 작사가 최치수 작품 활동 시작. 이 무렵부터 김시스터즈 인기리에 활동. |
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작품 | <추억의 소야곡>, <비 내리는 호남선>, <청실홍실>, <비의 탱고>, <앵두나무 처녀>, <내 고향으로 마차는 간다>, <구원의 정화>, <효녀 심청>, <백치 아다다>, <아리랑 목동>, <청산유수>, <하룻밤 풋사랑>, <소녀의 꿈> | |
기타 사회·문화적 사건 | 5월, 민주당 대통령 후보 신익희 선거 직전 사망. 6월, HLKZ R.C.A방송국에서 한국 최초 텔레비전 방송 개시. 라디오 연속드라마 <청실홍실> 인기. |
|
외국 대중음악사 주요 사건 | 일본에서 <十九の春>, <別れの波止場> 등 히트. 미국에서 엘비스 프레슬리의 <Heartbreak Hotel>이 8주 동안 차트 정상 차지. | |
1957 | 한국 대중음악사 관련 사건 | 이 무렵 신신레코드가 신세기레코드로 명칭 변경. 7월, 잡지 <삼천리>에서 실시한 가수 인기투표에서 현인이 1위, 명국환이 2위, 남인수가 3위로 선정. 9월, 대한레코드가수협회 발족(회장 남인수). 최초의 미8군쇼 용업업체 화양흥업 설립. <고향만리>(박시춘 작곡) 미국에서 번안곡으로 음반 발매 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인물 | 7월, 작곡가 손목인 일본에서 귀국. 8월, 가수 고복수(1911~1972) 은퇴 공연. 가수 차은희(1937~) 데뷔. 가수 권혜경(1931~2008) 데뷔. 가수 최갑석(1938~2004) 데뷔. 가수 최숙자(1940~) 데뷔. 가수 겸 작곡가 한동훈(1923~1985) 데뷔. 가수 윤일로(1935~) 데뷔. 이 무렵 가수 현미(1937~) 현시스터즈 멤버로 데뷔. |
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작품 | <산장의 여인>, <단장의 미아리고개>, <울어라 기타줄아>, <산유화>, <닐니리 맘보>, <무정열차>, <청포도 사랑>, <휘파람 불며>, <인생수첩> | |
기타 사회·문화적 사건 | 1월, 저작권법 제정. 8월, 가짜 이강석 사건 발생. 9월, AFKN 텔레비전 방송 개시. | |
외국 대중음악사 주요 사건 | 12월, 영국과 미국에서 최초의 스테레오 LP음반 발매. 일본에서 미소라 히바리가 부른 <港町十三番地>를 비롯해 <有樂町で逢いましょう>, <夜霧の第二國道>, <靑春サイクリング> 등 히트. |
|
1958 | 한국 대중음악사 관련 사건 | 여름, 공보실 레코드제작소에서 최초의 국산 10인치 LP음반 제작. 9월, 세광출판사에서 <대중가요> 시리즈 간행 시작. 이 무렵 대구에서 파라마운트레코드 음반 발매 시작. 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인물 | 2월, 6·25 당시 부역 혐의로 체포되었던 가수 계수남(1920~2004) 석방. 가수 백야성(1934~) 데뷔. 가수 손시향(1937~) 데뷔. 가수 남일해(1938~) 데뷔. 가수 금호동(1936~) 데뷔. 이 무렵 가수 박재란(1936~) 음반 데뷔. 작사가 정성수(1924~1998) 이 무렵 작사 활동 시작. 작곡가 김성근(1936~2003) 이 무렵 작곡 활동 시작. 작곡가 송운선(=송성운. 1934~) 이 무렵 작곡 활동 시작. 작곡가 박시춘 오향영화사 설립, 영화감독으로도 활동. |
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작품 | <딸 칠형제>, <고향에 찾아와도>, <한 많은 대동강>, <나의 탱고>, <하이킹의 노래>, <만리포 사랑>, <처녀 뱃사공>, <짝사랑>, <그러긴가요>, <검은 장갑>, <럭키 모닝>, <남성 넘버원> | |
기타 사회·문화적 사건 | 1월, 전 진보당 대통령후보 조봉암 체포(진보당 사건). 12월, 미국 재즈 연주가 잭 티가든 내한. | |
외국 대중음악사 주요 사건 | 일본에서 <花笠道中>, <東京ナイト·クラブ>, <無法松の一生>, <俺は淋しいんだ> 등 히트 | |
1959 | 한국 대중음악사 관련 사건 | 4월, 김브라더즈(김보이즈) 라디오 방송으로 데뷔. 9월 방송경음악경연대회에서 김광수 악단(악단 부문), 이금희(가수 부문), 노명석(편곡 부문) 등 수상. 이 무렵 일반 음반회사에서 10인치 LP음반 생산. 이 무렵 아세아레코드 음반 발매 시작. 이 무렵 오리지날레코드 음반 발매 시작. 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인물 | 1월, 가수 김시스터즈 미국 진출. 10월, 코미디언 겸 작사가 윤부길(1915~1959) 사망. 11월, 가수협회 회장으로 현인 선출. 가수 이미자(1941~) 데뷔. 가수 안정애(1936~) 데뷔. 가수 최희준(1936~) 미8군쇼 무대에서 데뷔. |
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작품 | <유정천리>, <대전 블루스>, <기타 부기>, <나는 가야지>, <꿈은 사라지고>, <아리조나 카우보이>, <명동 블루스>, <삼등인생>, <과거를 묻지 마세요>, <뽕 따러 가세>, <꿈이여 다시 한 번>, <항구의 사랑>, <청춘 아베크>, <추억의 영도다리>, <삼팔선의 봄> | |
기타 사회·문화적 사건 | 3월, 반공예술인단 결성(단장 임화수). 4월, <경향신문> 폐간. 4월, 최초의 민간상업방송인 부산문화방송 개국. 7월, 전 진보당 대통령 후보 조봉암 사형 집행. 9월, 태풍 사라호로 8백여 명 사망. 11월, 이른바 ‘합죽이 구타 사건’ 발생. 재일교포 북송 시작. |
|
외국 대중음악사 주요 사건 | 미국에서 가수 버디 홀리, 리치 밸런스 비행기 사고로 사망 | |
1960 | 한국 대중음악사 관련 사건 | 1월, 한국영화음악작곡가협회 발족(회장 김성태). 5월, 이 무렵 일본 음반 수입 금지 해제, 일본 대중가요 범람. 6월, 이 무렵 신세기레코드 신당동 스튜디오 개관. 7월, 4·19혁명의 노래 전국보급 추진위원회 발족(위원장 김교성). 겨울, LP음반 비중이 SP음반을 능가하기 시작. 이 무렵 작곡가 손석우가 비너스레코드 설립. 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인물 | 6월, 작곡가 이재호(1919~1960) 사망. 이 무렵 가수 한정무(~1960) 사망. | |
한국 대중음악사 주요 작품 | <무너진 사랑탑>, <해운대 엘레지>, <카추샤의 노래>, <청춘 부라보>, <4·19행진곡>, <댄서의 순정>, <푸른 날개>, <마도로스 부기> | |
기타 사회·문화적 사건 | 1월, 재일 가수 김영길(1909~1985. 일본 예명 나가타 겐지로) 북한으로 귀국(북송). 2월, 민주당 대통령후보 조병옥 선거 직전 사망. 4월 19일, 4·19혁명. 5월, 이승만 전 대통령 하와이로 망명. 7월, 제2공화국 출범. |
|
외국 대중음악사 주요 사건 | 미국에서 이른바 '페이올라(payola)' 관행에 대한 국회 조사 시작. 음반사와 방송 관계자 사이에 음반을 틀어주는 대가로 사례하는 합의가 있음을 적발. |